본문 바로가기

사회복지/복지-공동체 만들기

사회복지담당공무원, 지역복지실천가인가? 공무원인가?


읍면동복지허브화로 가시화되는 변화,

마을, 공동체, 공공복지행정의 혁신...

공공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.


일반적으로 지역복지실천가는


"주민을 지도하는 사람이 아니라,

주민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,

주민들이 자신들의 처지와 사정에 맞게

지역사회의 활동에 참여하도록 여러 지원을 제공하는 사람"


"주민들이 지역사회의 묹네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고

보다 폭넓게 지역사회의 활동에 투신할 수 있도록

여러 가지 정보 및 자원 등의 기반을 제공해주는 사람"


"주민들이 문제해결에 동원되는 객체가 아니라

지역사회의 변화·발전을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가는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돕는 사람"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<이  호 외, 2000, 현장에서 배우는 주민조직방법론>

등으로 정의된다.


지금까지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은 중앙정부, 광역, 시군구로 이어지는

위계적 전달체계 속에서 결정된 규범과 지침 속에서 목표, 즉 실적을 생산해내야 하는

집행자, 전달자의 역할을 요구받았다.


그러나 최근 읍면동복지허브화로 가시화된 전달체계 개편의 방향은

기존의 역할에 대한 변화를 요구한다.

즉 지역복지실천가, 주민조직가로서의 역할을 요구한다.


과연 가능한가?

시간이 갈수록 더 분명해지는 첫번째 질문이다.


공공 전달체계 내에서 활동한다는 한계와

본질적인 지역복지실천가의 역할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?

두번째 질문이다.